이작가

초근 목피

회동골 2013. 5. 5. 20:23

 

                 

 

                  

                   산골 달뱅이 논에도 보리 이삭이 제법 토실토실하게 무르익어 가고 있다

                   옛적엔 매년 이때쯤이 되면 두지에 곡식은 비어 가고 두지 바닥이 보이게 된다.

                   얼마 남지 않은 곡식을 아끼려고 초근목피로 끼니를 해결하는 빈곤한 가정이 많았는데

                   이런 시기 음력 4~5월을 보릿고개라고 한다

                   초근목피로 끼니를 연명했다고 해서 풀뿌리나 나무껍질만 먹고 생활한 것은 아니다.

 

                   

 

 

                   위 사진과 같은 둥굴레 뿌리를 캐서 곡식과 함께 밥을 짓거나 쑥을 넣는 쑥밥 아니면

                   무를 썰어 넣는 무밥이 늘 밥상에 오른다.

                 

                  

 

 

                    소나무에 물 오름이 좋은 음력 4월이 되면은  위 사진과 같이 송기(소나무 속 껍질)를 넣은

                    송기 밥이 가죽나무 새순 자반과 함께 밥상에 오르고....

                    자주 하는 말 중에 빈곤함을 표현할 때 똥구멍이 찢어지게 가난하다는 말을 더러 한다.

                    가난한데 왜 똥구멍이 찢어질까?

                    생활이 어려운 가정일수록 쑥밥과 송기 밥 등 섬유질이 많이 함유된 음식으로 허기를

                    채우다 보니 요즘 말로 변비가 심해서 손가락에 비눗물을 칠해가지고 항문을 막고 있는

                    변을 파 내었다고 한다.

 

 

 

                  철부지 어린 시절 입이 궁금해서 송쿠(송기의 전라도 사투리) 먹겠다고 소나무의 위쪽

                  곧은 부분만 절단해서 몰래 송쿠 먹다가 산 주인아저씨께 들켜서 송쿠 줄기가 회초리로

                  변하여 나의 장딴지를 아프게 했던 시절이 생각난다.

                   

'이작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후죽순  (0) 2013.06.12
고향땅  (0) 2013.05.15
부샄에 군불 넣고  (0) 2013.02.28
붕어빵  (0) 2013.01.23
겨울 그림 2  (0) 201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