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작가

땡감

회동골 2014. 8. 29. 20:52

 

                   가난한 시절

                   신작로 양쪽에 가지런히 자라고 있는 아카시아와 무궁화나무를 베어내고 새로운 가로수

                   라고 이태리 포플러 나무로 수종 갱 신을하 던 5~60 년대.....

                   모두다 배고픔에 쪼들려 살던 때 여름방학이 되면 방학숙제는 밀쳐두고 꼴망태를 어깨에 메고

                   꼴을 베러 뜰로 나가서 논둑과 밭둑에 어린 땀을 쏟았다,

                   논둑에 빨간 깃발 (농약이 처음으로 공급되던 시절엔 고독성 이어서 가축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농약을 뿌리고

                   빨간 깃발을 꽂았다) 이 있으면 한참을 꼴을 찾아 헤매고 다녔고...

 

                  

 

                  

 

                   꼴망태를 메고 뜰로 나갈 때면 감나무 밑에 떨어진 땡감 (떫고 푸른 어린감) 을 망태속에 주어담고

                   주인모르게 나무에달린 생감도 몇게딴다,

                   빨간 깃발이 없는 논을찾아 샛돌 (차거운물이 바로 논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임시로 만든 작은또랑) 안쪽에

                   누가보지못하도록 벼 포기사이에 땡감을 담궈놓고 내일을 기다리며 꼴을벤다,

                   하루가 지난후 어제담궈놓은 땡감을 건져내면 깜 꼭지부분이 누렇게 변하는데

                   이때가 제일 맛있다,

                  

 

                  

 

                   떫은맛은 논물이 다 가져가고 달콤한맛만 남겨놓은 벼 포기에 감사하며 껍질도

                   벗기지않고 그냥 베어 먹는맛은 정말 꿀맛이다,

                   먹다 남은 감은 망테속에 넣고와서 저녘에 모깃불 앞에서 마져먹고....

                   꼴을 베면서도 더운줄도 모르고 괜스레 즐거움에 젖어살던 시절을 그리며

                   오늘 우려온 감을 마누라손에 쥐어준다,

 

'이작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꼭두네 마을  (0) 2015.07.02
주택 사용승인 검사  (0) 2015.01.10
오돌개  (0) 2014.05.25
도롱태  (0) 2014.02.02
송광 마을 기업  (0) 2014.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