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작가

요강

회동골 2019. 2. 1. 12:29

                

                   지난 60년대 코흘리 게시 절

                   마당 한구석에 자리 잡은 학독 (돌 항아리) 옆에는 아침에 엄니가 소변 비우고 지푸라기로

                   깨끗하게 씻어서 물을 가득 채워놓은 요강이 2개씩 늘 있었다

                   

 

                   해가지고 어둠이 찾아오면 엄니는 요강의 물기를 닦아서 하나는 안방 윗목에 다른 하나는

                   누나들이 생활하는 부엌방으로 가져다 놓았다

                   누나들 방으로 들어가는 요강 속에는 아침에 닦을 때 쓰시던 지푸라기가 한 줌 들어가고.

                   기나긴 겨울밤 어둠 속에서 요강에 걸터앉아 치마로 엉덩이를 감싸고 볼 일 보던 엄니

                   골딩 바지를 내리고 요강에 조준을 잘못해서 방바닥에 찔금 일을 봐서 다음날 들킬까 봐

                   걸레를 찾아야 했던 어린 시절

                  

 

                   내 기억 속의 예전 혼인 풍습은 신랑이 완행버스 타고 와서 마을 어귀부터는 우인 대표들이 메어주는

                   가마를 타고 마을 텃세에 힘들게 들어오고

                   신부는 마을 어귀부터 가마를 타고 시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가마 속 신부 방석 밑에 바가지를 넣어놓고

                   새색시 엉덩이 무게에 바가지 깨지는 소리를 들으려고 귀를 기울이던 기억이 아른거린다.

                   예전 혼수용품 속에는 요강이 꼭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신작로가 없던 시절 울퉁 불퉁한 구질(옛길)로 가마를 타고서 새색시가 장시간 긴장하며

                   두려움에 떨다 보면 화장실이 그리워지기 때문에 이동식 간이화장실 요강이 옆에 자리 잡고

                   가마꾼에게 실례하는 소리가 들릴까 봐 요강 속에 친정 엄니가 넣어준 잡곡이나 지푸라기가 친정엄니

                   눈물과 섞여있고

                   의료지식이 없던 시절 신부의 갑작스러운 달거리에 행여나 당황스러운 일 이 생길까 봐 노랑 저고리에

                   여러 상황 속에서도 티가 나지 않은 분홍치마를 입혀주는 양가의 배려...

                   요즈음 눈만 뜨면 미투란 이상한 단어가 우리의 눈과 귀를 어지럽히고 있다.

                   요강 속에 지푸라기를 넣어주는 어른들의 배려

                   새색시에게 분홍치마를 입혀주던 혼주들의 지혜

                   가마가 아니고 비행기 타고서 시댁 가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할 대목인 것 같다,